Anchoring Heuristic(앵커링 휴리스틱)

2023. 2. 10. 03:53공부/경영학도의 경제공부

728x90
반응형
SMALL

열심히 썼는데.. 다 날아갔다.. ㅜㅜ 티스토리 적응하기 어렵네

아무튼
강의에서 그룹 토의 주제가 Anchoring Heuristic이었어서 가장 기억에 남는 휴리스틱 중 하나이다.
한국에서는 기준점 설정 휴리스틱, 정박 효과(휴리스틱), 앵커링, 닻 내리기 등등 여러가지로 불린다.
휴리스틱 대신 effect(효과)라는 말도 자주 사용하는데 이 포스팅은 앵커링의 정의 이해를 위한 것이므로 구분 없이 사용하였다.

Anchor(앵커)는 닻이라는 뜻이지만
은유적으로는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 조정하는 역할을 해주는 것이다.

The anchoring effect;

is a cognitive bias whereby an individual's decisions are influenced by a particular reference point or 'anchor’.

출처: the decision lab

 

1) Is the height of the tallest redwood more or less than 1,200 feet?
2) What is your best guess about the height of the tallest redwood?

앵커링 살펴보기 좋은 예시.
1번 질문은 redwood의 height에 앵커를 던져준 질문이고, 2번은 앵커(기준점)가 없다.

The „high anchor“ in this experiment was 1,200 feet.
For other participants, the first question referred to a „low anchor“ of 180 feet.
The difference was 1,020.
As expected, the two groups produced very different mean estimates: 844 and 282 feet.

기준점이 주어진 것과 아닌 것의 답변 차이를 볼 수 있는 예시. (앵커링의 영향!)


Can Anchoring be regarded as a Priming Effect?

Yes,
It is a priming effect: individual's exposure to a certain stimulus influences his or her response to a subsequent stimulus, without any awareness of the connection.

앞서 전달받은 정보가 뒤의 결정에도 영향을 주는 점화효과(프라이밍 효과)와도 같은 개념이라고 봐도 된다고 한다


you should assume that any number that is on the table has had an anchoring effect on you.
728x90
반응형
LIST